공지사항

[마음충전소] 결과페이지 - B(Burn-Out)유형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의과대학
댓글 0건 조회 677회 작성일 21-12-22 01:30

본문

* URL: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연건학생지원센터 (mindbattery2021.kr)

 

​유형 이름: 당신의 고민 유형은 B입니다.”

 

* 유형별 소개:

지금 당신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B(Burn-Out)에 대한 주의입니다. 끊임없이 몰아치는 일과 공부에 지치고 힘든 상태입니다. 지치고 힘든 마음을 다시 일으키려 애쓰지만 쉽지 않죠. 마치 내 마음 속에서 일렁이던 에너지의 불꽃이 꺼져서 사라져 버린 것 같은 느낌에 사로잡혀 있습니다.

 

* ​유형별 대처:

* 번아웃이란 무엇일까요?

현대인들에게 너무나 익숙하고, 다들 한 번쯤은 나도 번아웃이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해 봤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번아웃이 대체 뭘까요? 번아웃은 의욕적으로 일에 몰두하던 사람이 극도의 신체적 · 정신적 피로감을 호소하며 무기력해지는 현상을 의미하며, 보통 포부 수준이 지나치게 높고 전력을 다하는 성격의 사람들에게서 나타난다고 합니다. 다음의 checklist를 보고 얼마나 많은 문항에 동의하는지 확인해 볼까요?

  1) 기력이 없고 쇠약해진 느낌이 든다.

 2) 쉽게 짜증이 나고 노여움이 솟는다.

 3) 하는 일이 부질없어 보이다가도 오히려 열성적으로 업무에 충실한 모순적인 상태가 지속되다가 갑자기 모든 것이 급속도로 무너져 내린다.

 4) 만성적으로 감기, 요통, 두통과 같은 질환에 시달린다.

 5) 감정의 소진이 심해 우울하다고 표현하기 힘들 정도의 에너지 고갈 상태를 보인다.

 

번아웃에 빠진 당신에게 가장 중요하고 반드시 기억해야 할 사실은, 우리는 사람이지 기계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하다못해 기계도 쉬지 않으면 고장이 나죠! 더 오랫동안 즐겁게 일하기 위해서는 열심히 일하는 방법만큼이나 즐겁고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고 긍정적인 정서를 느끼는 방법들에 대해 익히고 접하면서 배워야 합니다.

 

<펴기: 보다 자세한 tip을 확인하고 싶으시면 펴기버튼을 눌러보세요.>

 

* 유형별 팁

 

1. 일한 만큼 휴식 취하기

일이나 공부에 집중하다 보면 그 일에 집중하느라 끼니도 건너뛰고 심지어는 잠까지 미뤄가며 몰두할 때가 있기 마련입니다. 번아웃 증후군은 일에 과도하게 몰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과정이 많습니다. 일에 모든 에너지를 쏟아서 나의 기본적인 생활을 유지하고 돌보는 데 필요한 에너지가 남아있지 않게 되는 것이지요. 또한 실제로 한 가지 일에 과도하게 몰입할 경우 집중의 효율도 저하될 수 밖에 없습니다. 우리가 괜히 50분 수업에 10분 쉬는시간을 갖게 된 것이 아니지요. 타이머를 맞춰 보세요! 아무리 길어도 60분에 한 번은 꼭 쉬는 시간을 가져 보세요. 물을 한 잔 마시는 정도여도 좋습니다. 흐름이 끊기는 것을 두려워하지 마세요. 우리의 뇌는 쉬는 동안에 더 많은 에너지와 아이디어를 얻게 됩니다.

 

2. 동료 또는 멘토와 대화하기

함께 공부하고 일하며 공감대를 형성하기 쉬운 사람들은 뭐니뭐니 해도 학교/직장 동료들이죠. 특히, 하루에 가장 많은 시간을 공유하는 이들과 고민을 나누고 지지를 받으면서 힘든 시기를 견뎌낼 수 있습니다. 또는 먼저 비슷한 길을 걷고 비슷한 고민을 했을 선배나 멘토를 찾아 조언을 구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COVID-19로 인해 언택트의 시대를 살아가며 고립되기 쉬운 우리에게, 다른 사람의 온기는 큰 힘이 되어 줄 수 있습니다.

멘토를 찾기 어렵다면, 연건학생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피어튜터링 프로그램(http://yss.snu.ac.kr/support/bbs/content.php?co_id=program_info)을 이용해보실 수 있습니다!

 

3. 다시 불꽃을 피우기 위한 취미생활 찾기

일이나 공부에만 몰두하다 보면 지친 심신을 달래는 데 바빠서 긍정적인 에너지와 활력을 채울만한 요소를 찾기 힘들 때가 있습니다. “쉬기도 힘든데 취미는 무슨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죠. 하지만 꺼져버린 불씨를 다시 살려내기 위해, 다른 영역에서의 흥미와 활기를 찾아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이는 우리의 뇌가 기쁘게 쉴 수 있도록 도와주기도 하. 그런데 어떤 활동을 할지 고민되신다고요? 그 활동을 마친 뒤 만족스럽고 즐겁고 충만한 느낌이 든다면 무엇이든 좋습니다. 만약 무언가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것이 어렵거나 시간이 오래 걸릴까 망설여진다면, 가볍게 DIY키트 만들기, 원데이 레슨 등을 시작해보는 것도 좋아요! 또는 예술작품을 감상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4. 삶의 우선순위에 대해 고민하고 시간을 할애하기

지치고 의욕이 없는 이유가 삶의 방향성과 의미의 부재 때문이라고 느끼신다면, 이제는 나의 삶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 볼 시기일지도 모릅니다. 청소년기는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고 삶의 방향성을 대략적으로나마 결정해야 하는 시기이지만, 학업부담에 압도되어 있는 한국의 청소년들에게는 아주 어려운 과업입니다. 목표로 하는 대학(진로)에 진학하면 모든 걱정이 사라질 줄 알았지만, 생각해본 적도 없는 또 다른 고민들이 곳곳에 숨어있죠. 성인이 된, 일단 목표로 한 어떤 특정 단계에 이른 나를 돌아보며, 삶의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에 앞서 필요한 부분을 확인해보면 어떨까요?

Tip: 연건학생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 삶의 의미 찾기(http://yss.snu.ac.kr/support/bbs/board.php?bo_table=bo_notice&wr_id=47)와 관련된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 너무 힘들다면, 전문기관에 방문하기 (연건학생지원센터 상담 신청: snuyss@snu.ac.kr)

번아웃은 사실 다양한 스펙트럼을 지니고 있는 여러 증상의 총합체이므로, 위의 체크리스트에 해당되더라도 사실은 번아웃이 아니라 우울증, 불안장애, 신체질환 등 다양한 다른 요인이 원인인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에 증상이 심각하고 일상적인 기능수행에 문제(: 기본적인 일상생활 유지의 어려움, 학업/직업적 수행의 객관적인 질 저하 등)가 있다고 느낀다면 전문 기관에 방문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우리 연건학생지원센터에 연락(상담 신청: 이메일 snuyss@snu.ac.kr; 전화 02-740-8110) 후 예약방문을 통해, 보다 구체적인 논의 및 정보 제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